피터드러커 프로페셔널의 조건.

2009년 8월 7일 금요일

지식은 공유해야 가치가 있다.

-공유하지 않는 지식은 산업혁명 이전의 가업을 잇는 장인들과 같을 뿐이다. 단, 부를 얻고 싶으면 한 분야의 최고의 최신의 지식을 갖되, 공유하지 말라. 팔아라.(사람들이 눈에띄지 않게 판다면 그보다 더 좋은것이 없다.)

생산성을 어떻게 향상시킬것인가?

-끊임없이 질문한다. 해야 할 과업이 무엇인가? 왜 그것을 하는가?

지식노동의 세가지 범주.

  1. 지식노동들 줄 몇 가지 직무들의 성과는 곧 질을 의미한다.
  2. 성과가 양과 질 두 가지로 구성되는 지식 노동도 매우 많다.
  3. 성과가 양적인 측면에 있는 작업도 있다.

어떠한 범주에 있는지 따져보고 자신의 과업을 결정할 수 있다.

테일러가 알지 못했던 교훈 두 가지(조직은 배우는 기관이자 가르치는 기관이다.)

  1. 향상된 생산성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학습이 필요하다.
  2. 훈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혜택은 새로운 것을 배우는 데에 있지 않고 이미 잘하고 있는 것을 훨씬 더 잘하게 되는 데에 있다는 사실이다.

경영자로서의 지식근로자 – 지식노동은 그 결과의 질에 따라 규정되는 것이다.

지식근로자의 4가지 현실

  1. 지식근로자는 다른 사람을 위해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2. 지식근로자는 자신이 살고 있고, 또 일하고 있는 현실을 바꾸기 위해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는 한 ‘일상업무’에 쫓겨 다닐 운명에 처해진다.
  3. 지식근로자가 조직에서 일하고 있다는 사실은 자신이 공헌한 바를 다른 사람들이 활용하는 경우에만 비로소 실질적은 성과를 올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4. 지식근로자는 조직 ‘내부’의 세계에 존재한다. 외부세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직접적으로는 알지 못한다.

목표달성 능력은 곧 실행능력이며 실행능력은 ‘지겹도록’ 반복적인 실행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

공헌할 목표 정하기! – 조직전체의 성과에 초점을 맞춰라(?)

조직의 사회적인 공헌은 세가지 주요영역에서의 성과에 의해서 결정된다.

  1. 직접적인 결과를 산출하는 것
  2. 가치를 창출하고 재확인하는 것
  3. 인재를 육성하는 것

올바른 인간관계의 비결(모든 사람이 결과를 얻고, 성취감을 맛볼 수 있다면, 때때로 주고받는 거친 말투도 인간 관계를 파괴하지는 않을 것.) – 공헌에 초점을 맞추는 것

  1. 커뮤니케이션
  2. 팀워크
  3. 자기계발
  4. 인재육성

인생을 바꾼 7가지 지적 경험

  1. 목표와 비전을 가져라
    “왜 80세란 나이에, 굳이 힘든 오페라 작곡을 계속하는가?”
  2. “음악가로서 나는 일생 동안 완벽을 추구해 왔다. 완벽하게 작곡하려고 애썼지만, 하나의 작품이 완성 될 때마다 늘 아쉬움이 남았다. 때문에 나에게는 분명 한번 더 도전해 볼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3. 신들이 보고 있다.
    ”조각들은 신전의 지붕 위에 세워져 있어 사람들은 전면밖에 볼 수가 없는데 왜 뒷면 작업비까지 내야만 하는가?”
    ”아무도 볼 수 없다고? 당신은 틀렸어. 하늘의 신들이 볼 수 있지.”

    ”당신이 쓴 책 가운데 어느 책을 최고로 꼽습니까?”
    ”바로 다음에 나올 책이지요.”
  4. 끊임없이 새로운 주제를 공부하라
    3년 4년 마다 새로운 주제를 선택해서 조금씩 깊게 파고들어라. 상당한 지식을 쌓게 해 줄것이고, 새로운 주제와 새로운 시각, 새로운 방법에 대해 개방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줄 것임.
  5. 자신의 일을 정기적으로 검토하라
    일년에 두번씩 토요일 오후와 일요일 전체에 지난 6개월간 우리가 했던 일에 대해 토론했다. 그리고 일주일 뒤 각자 다음 6개월간의 새로운 업무계획과 학습계획을 제출했다.

    이를 통해 베르디의 교훈, 즉 ‘완벽을 기하기 위한 노력’을 하면서 살고 있다.
  6. 새로운 일이 요구하는 것을 배워라
    새로운 직위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 직위에서 요구하는 일에 대한 집중이 필요하다.
  7. 피드백 활동을 하라
    예수회 신부나 칼뱅파 목사는 어떤 중요한 일을 할 때마다 예상하는 결과를 기록해 두었다. 그리고 9개월 후에는 실제 결과와 자신이 예상했던 결과를 비교해 보는 피드백 활동을 한다.
    피드백 활동은 우리의 장점이 무엇인지 밝혀주는데, 이 장점은 한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해 알 수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장점은 한 개인이 개선해야 될 것이 무엇인지를 그리고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또한 그것은 한 개인이 할 수 없는 것, 심지어는 시도조차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명백히 밝혀준다.0이것들이 바로 지속적 학습의 관건이다.
  8.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 바라는가.
    우리는 자신이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지에 대해 스스로 질문해야 한다.
    우리는 늙어가면서 그 대답을 바꾸어야만 한다. 그것은 차츰 성숙해 가면서 그리고 세상의 변화에 맞추어 바뀌어야만 한다.

0 개의 댓글: